이건희 회장이 복귀한 뒤 삼성전자가 변했다. 정확하게 말하면 본래 모습으로 돌아갔다. 이 회장은 경영권 불법 승계 및 비자금 조성 등 각종 의혹이 거셌던 지난 2008년 4월 22일 삼성 쇄신안을 발표하며 회장직에서 물러났었다.이 회장이 없었던 지난 2년여간 표면적인 삼성전자의 모습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들춰보면 부품 사업은 시장지배력이 크게 약화됐다. LCD는 LG디스플레이에 주도권을 내줬고 낸드플래시는 도시바가 턱밑까지 쫓아왔다.올 1분기 LG디스플레이는 영업이익과 이익률 면에서 삼성전자를 크게 앞섰다. 영업이익률의 경우 LG디스플레이가 더블스코어로 삼성전자를 앞섰다. 제품 포트폴리오가 좋았고 원가경쟁력 측면에서 삼성전자를 누른 것이다.낸드플래시는 도시바의 추격이 무섭다. D램 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도시바는 1분기 34.4%의 점유율로 1위 삼성전자(39.2%)와의 격차를 좁혀오고 있다. 2년 가까이 벌어져 있던 기술격차는 반기 단위로 좁혀졌다. D램 분야와는 달리 1등은 1등인데 쫓기는 1등인 것이다.오히려 차세대 나노 공정 부문에선 삼성전자의 27나노 낸드플래시는 인텔과 마이크론의 25나노, 하이닉스의 26나노보다 소폭이나마 뒤쳐진 것이다. 삼성전자가 나노대의 초미세공정을 논하면서 20나노대라는 표현을 쓰는 이유가 바로 이런 것이다.반도체와 LCD는 투자 사업이다. 삼성전자는 남들이 머뭇거릴 때 과감하게 치고 나가는 ‘공격경영’으로 성장해왔다. 그 중심에는 이건희 회장의 과감한 결단력이 있었다.그러나 이 회장이 없었던 지난해 삼성전자의 투자는 보수적이었다. 삼성전자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연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반도체와 LCD 분야에 2006년 9조1702억원, 2007년 7조6052억원, 2008년 8조8520억원을 투자했다. 이 회장이 없었던 2009년에는 4조8929억원으로 투자 금액이 눈에 띄게 줄었다.삼성전자는 지난해 세트(DMC)와 부품(DS)으로 조직을 나누고 최지성 사장과 이윤우 부회장의 투톱 체제로 사업을 이어나갔다. 이 시기 전후로 삼성전자 부품 조직은 허리띠를 졸라맸다. 당장 시장이 안좋으니 생산량부터 줄였다. 삼성전자는 2008년 연말부터 2009년 1분기까지 반도체 및 LCD의 감산에 돌입한 바 있다.1위 업체인 삼성전자가 가동률을 낮추면 결과적으로 경쟁업체에게는 도움이 된다. 이 회장이 있던 삼성전자는 시장 상황에 따라 가동률을 조절하진 않았었다. 가격이 회복될 때까지 버티고 오히려 공급량을 늘려나갔던 삼성전자였다. 종국에는 경쟁 업체가 나가떨어져 수혜를 입는 식으로 삼성전자는 성장해왔다.생산량을 줄이는 판국에 공격적인 신규 시설 투자가 이어질 리 없었다. 지난해의 보수적 투자 결정에 따른 여파가 올해 실적에서 나타나고 있다. 좋긴한데 더 좋을 수 있었다는 뜻이다.이 회장이 있었다면 지난해 최대 규모의 투자를 감행했을 것이다. 삼성전자는 97~98년, 2001~2002년 극심한 불황기 때 과감한 투자를 단행해 경쟁사와의 격차를 확대해왔었다. 이건희 회장 복귀 시점에 맞춘 투자 발표는 사상 최대 규모지만 어찌됐건 이것은 이미 늦은 것이다.컨트롤 타워의 부재, 단기 실적에 우선하는 조직 문화는 집안 싸움도 야기했다. LCD가 아닌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가 독자적인 LED 백라이트 유닛(BLU) 조립 라인을 갖춘 것은 경쟁 체제의 중복사업을 효율성 차원에서 정리한다는 삼성의 최근 기조와 동떨어져 있다.“삼성이 약해지면 돕겠다”고 했던 이건희 회장이다. 약해질 수 밖에 없는 환경이다. 이건희 회장의 존재는 삼성에게는 득(得)이지만 잠재적으로는 큰 실(失)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지난 2년이었다. 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