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SK텔레콤과 KT가 창조경제 띄우기에 한창이다. 청년 창업 및 중소기업 육성 등 현 정부가 추진하는 경제정책 지원에 힘을 쏟고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몸이 달았다. 한 발 물러서 있는 LG유플러스와 다른 모습이다. SK텔레콤 KT가 창조경제 확산에 앞장서고 있는 배경에 대해 업계는 통신이 정부 규제산업인 점과 정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각 사 현안 문제 등을 꼽고 있다.

SK텔레콤은 서울산업진흥원과 청년 창업 활성화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협약은 서울 용산 청년창업플러스센터에서 열렸다. 이곳은 서울산업진흥원 ‘챌린지1000 프로젝트’ 수료기업 중 성장 가능성 높은 기업이 입주해 육성 프로그램을 거치는 공간이다. SK텔레콤은 모바일 테스트베드를 설치했다.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를 갖췄다.

SK텔레콤은 지난 17일에는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전 벤처기업 듀얼어퍼처인터내셔널에 지분투자 및 전략적 제휴를 실시했다. SK텔레콤은 자사가 ‘창조경제 전도사’라는 것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SK텔레콤 장동현 사장은 SK그룹 창조경제혁신추진단장을 겸임하고 있다.

KT도 18일 경기 일산종합시험센터에 ‘재난안전 협력 테스트랩’을 열었다고 전했다.

이 공간은 중소 벤처기업과 공동연구용이라는 것이 KT의 설명이다. 네트워크 장비 및 공공안전망(PS-LTE) 분야 기기 등을 비치했다. KT 유무선 통신망과 연동 시험을 할 수 있다. KT 재난종합관제 플랫폼과 연동할 수 있는 솔루션도 제공한다. 참여 문의는 이메일(ppdr.lab@kt.com)로 가능하다.

재난안전망 사업권 획득을 위해 중소 벤처기업과 협력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셈이다. KT는 경기도와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를 만들고 있다. 한국형 창조경제 모델 확산 거점으로 ICT 활용 벤처 창업을 지원하겠다는 것이 KT의 생각이다. KT는 ‘국민기업’이라는 일종의 애국심 마케팅도 적극 활용 중이다.

SK텔레콤과 KT는 정부와 긴밀한 관계가 필요하다. 일도 회사도 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 창조경제를 대하는 자세는 KT보다 SK텔레콤이 적극적이다. 총수는 영원하지만 임기제 대표는 임기가 끝나면 끝이다.

SK그룹은 최태원 회장과 최재원 부회장이 수감 중이다. 작년 말 가석방 움직임이 있었지만 반재벌 정서 확산으로 무산됐다. 현재 기조대로면 올해 출소도 쉽지 않다. 또 SK텔레콤은 이동통신 점유율 1위다. 각종 규제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SK텔레콤은 지난 1월 보조금 대란에 따른 단독 징계를 앞두고 있다. KT는 여전히 정부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포스코와 더불어 민영화 이후에도 정부가 결정한 경영진이 회사를 차지한다. KT 대표는 3년 임기에 연임이 가능하지만 연임 뒤 명예롭게 퇴진한 대표는 없다. 전임 이석채 대표는 아직 재판을 받고 있다.

한편 LG유플러스 역시 창조경제 관련 업무를 진행하고 있지만 SK텔레콤 KT처럼 밖으로 알리는 일은 덜하다. LG그룹 차원으로 진행하는 일이 많은 것도 있다. LG그룹 주력사는 LG유플러스가 아니다.

댓글 쓰기

저작권자 © 딜라이트닷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